목차
스마트폰을 저렴하게 바꾸는 방법 중 하나가 자급제폰을 구입하고 알뜰 요금제를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자급제폰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다소 복잡하고 불편하기 때문인데 셀프로 쉽게 자급제폰을 개통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자급제폰 알뜰요금제
자급제폰은 이동통신사, 제조사, 대형 할인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판매처를 통해 직접 단말기를 구매하고, 직접 원하는 요금제를 선택하여 별도의 약정 없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자급제폰은 공기계를 스스로 구입해야하기 때문에 할인을 많이 받을 수 없어 다소 기계값이 비싸다는 점은 감안하셔야 합니다.
요금제는 SKT, KT, LGU+ 등 통신사 요금제를 사용해도 되고, 저렴한 요금제를 사용하기 위해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해도 됩니다.
알뜰폰 요금제는 사업자들이 각 통신사 통신망을 빌려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알뜰폰 요금제는 굉장히 저렴하고, 약정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약금이 없어 언제든지 해지하고 가입이 가능합니다.
서비스 품질면에서 떨어진다는 단점들이 있으나 각 통신사 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품질면에서 그렇게 많이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고객 센터 연결 측면에서는 다소 단점이 존재합니다.
알뜰폰의 목적은 저렴한 요금제인데요. 기계값과 매달 요금을 계산해보고 핸드폰 성지에서 구입할 때와 어떤 게 더 나은지 비교 후 어떤 방법으로 스마트폰을 구입할지 결정하는 게 좋습니다.
상황에 따라 성지에서 구입할때가 훨씬 저렴할 수 있습니다.
자급제 알뜰폰 셀프 개통 방법
자급제폰을 검색할때는 원하는 모델명 뒤에 자급제라고 써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자급제폰을 사용하는 이유가 저렴한 요금제와 약정이 없다는 장점을 활용하기 위함이 크기 때문에 알뜰 요금제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 제조사 판매 사이트, 제조사 대리점, 온라인 쇼핑몰 등 원하는 방법으로 자급제폰을 구입합니다. 기계값은 자체 할인, 카드사 할인, 카드사 포인트 적립 등이 있는데 잘 찾아보고 최대한 공기계를 저렴하게 사는 게 좋습니다. (참고로 자급제라고 쓰여있는지 꼭 확인하고 통신사 문구가 없는 공기계인지 꼭 확인한 후 구입해야 합니다.)
- 원하는 알뜰 통신사 요금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알뜰 요금제 비교 사이트를 찾아보시면 수많은 알뜰 요금제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본인이 사용하는 데이터, 통화량 등 사용량을 감안해서 요금제를 골라주세요.
- 해당 알뜰 요금제 통신사의 유심을 구입해야 합니다. 편의점, 다이소, 쇼핑몰, 통신사 웹사이트 등 통신사마다 유심을 파는 곳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 후 구입하시면 됩니다.(보통 요금제 비교 사이트에서 유심도 같이 구입할 수 있습니다.)
- 유심이 도착하면 핸드폰 개통을 진행하면 되는데요.
- 해당 알뜰 요금제 사이트에서 셀프 개통 신청을 통해 개인 정보와 유심 번호 등을 입력 후 개통을 하거나, 이것 저것 복잡하다면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 전화 신청으로 핸드폰 개통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 개통 신청 완료 후 유심을 핸드폰에 꽂고 핸드폰을 켜서 바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혹시 안내에 따라 개통이 안된다면 스마트폰을 몇 번 껐다 켰다 하면 개통이 된답니다.
자급제폰이 무조건 저렴한 것은 아닙니다. 요금제는 저렴하나 각종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이런 분들은 자급제폰을 사용하시면 좋아요.
- 스마트폰을 자주 바꾸는 경우
- 핸드폰 성지를 찾기 귀찮은 경우
- 귀찮아서 그냥 집 앞 아무 대리점이나 가서 바꾸는 경우
- 결합할인, 멤버십 혜택을 크게 사용하지 않는 경우
- 약정이 싫은 경우
- 저렴한 통신 요금을 원하는 경우
여러 가지 방법을 잘 비교해보시고 저렴하게 스마트폰을 구입하세요.
'돈되는 정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정책 변화되는 내용 무주택자에게 기회 (0) | 2022.08.05 |
---|---|
가성비 노트북 사용하는 용도별 추천 갓성비 모델 (0) | 2022.08.04 |
부동산 경기 침체 미분양 아파트 증가 미분양 매수시 장점 (0) | 2022.08.01 |
공인중개사 시험 합격 후 자격증 활용 전망 (0) | 2022.07.31 |
여름 물놀이 여행 전북 순창 강천사 계곡 (0) | 2022.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