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차나 중고차를 구입할 때 의무적으로 지역개발채권이나, 도시철도채권 등 공채 매입을 해야 하는데요. 채권 구입 후 5년이나 7년이 지나면 은행에 직접 방문해 청구를 해서 받아야 하지만 이를 몰라 넘기는 경우가 많은데 혹시 모를 잠자는 돈을 위해 공채 매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구매시 매입 채권
자동차 구매시 신차든 중고차든 공채매입을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데요. 공채 매입률은 각 지역마다, 차량 종류, cc마다 각각 다르게 적용됩니다. 본인의 차량의 공채 매입률이 궁금하시다면 '자동차 365' 사이트에 들어가서 확인 가능합니다.
자동차 365 > 신차 구입 > 신차 등록 비용 자세히 보기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차량 구매시 공채매입을 통해 차량 운행 시 환경오염 등 사회적인 비용과 도로, 보도블록, 가로등 정비 같은 사업비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공채 매입은 5년 ~ 7년 동안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고 만기 시까지 가지고 있으면 약간의 이자비를 포함한 금액을 돌려받게 됩니다.
만약 5000만 원짜리 차를 구입할 때 공채 매입률이 20%라면 1000만 원이나 되는 돈을 내야 하기 때문에 ' 공채 할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공채 할인은 공채를 사는 즉시 할인율을 적용해 바로 되파는 것을 말합니다. 1000만 원의 할인율(10%)이라면 100만 원이 할인된 900만 원에 공채 할인으로 되파는 것입니다.
차량 구입 시 차액인 100만 원만 내고 구입하는 것이죠.
혹시 공채 할인을 하지 않고 차량을 구입하고 5년 ~ 7년 이 지났다면 환급액이 지급됩니다. 이 같은 금액을 깜빡하고 돌려받지 않는 분들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확인을 해봐야 할 부분입니다.
최근에는 만기가 된 채권을 온라인으로 조회해서 바로 계좌로 환급받을 수 있게 됐는데요. 각 지역별 금고은행 홈페이지나 어플을 사용하시면 환급액을 알 수 있고 환급까지 가능합니다.
참고로 금고은행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정부 교부금이나 지방세 등 각종 기금을 주로 거래하는 은행으로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전국적으로 농협은행이 금고은행인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은행마다 홈페이지나 어플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공과금 메뉴 > 지역개발채권 > 미상환 채권 조회/상환을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차량 구입할 때 공채 할인을 받지 않고 구입하고 5년이나 7년이 지났다면 한번 확인해보세요.
'돈되는 정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문형 에어컨 파세코냐 LG냐 비교해보기 (0) | 2022.06.22 |
---|---|
아파트 청약 당첨 후 계약금 중도금 잔금 주 담대 (0) | 2022.06.22 |
정부 복지 지원금 놓치지 않고 받는 방법 (0) | 2022.06.19 |
공인중개사 시험 준비 지금 시작해도 될까 (0) | 2022.06.16 |
아이폰 14 디자인 스펙 달라지는 점 알아보기 (0) | 2022.06.15 |
댓글